메이저종합게임사이트

2015년 8월 31일 월요일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

출생-사망:  1958.8.29 ~ 2009.6.25
본명:  마이클 조지프 잭슨(Michael Joseph Jackson)
별칭:  마이클 조 잭슨(Michael Joe Jackson), 킹 오브 팝(King Of Pop), 엠제이(MJ)
국적:  미국
활동분야:  대중음악, 영화
출생지:  미국 인디애나주 게리(Gary)


1958~2009
'팝의 황제(King of Pop)'로 불리는 미국의 전설적인 팝스타인 마이클 잭슨입니다.
마이클 잭슨의 본명은 마이클 요셉 잭슨(Michael Joseph Jackson)으로, 1958년 8월 29일 인디애나 주 게리에서 9남매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그는 클라리넷 연주가였던 어머니와 팔콘스(The Falcons)라는 그룹에서 기타리스트로 활동했던 경험이 있는 아버지로부터 음악적인 영향을 받고 자라났으며,
마이클 잭슨은 1963년 5세 때부터 형들과 함께 '잭슨 파이브(Jackson 5)'란 그룹으로 활동하며 메인보컬을 맡았는데. '잭슨 파이브'는 1968년 모타운(Motown) 레코드사와 계약한 후 1969년 최초의 싱글 음반 을 발표하였으며, 이어 첫 번째 앨범 의 수록곡 , , 까지 4곡 모두 전미 빌보드차트 1위를 기록했다. 1971년부터 솔로로 데뷔한 마이클 잭슨은 14세였던 1972년 발표한 으로 다시 차트 1위를 차지하게되었습니다.
1975년 모타운에서 독립한 마이클 잭슨은 프로듀서 퀸시 존스(Quincy Jones)를 만난 이후 1979년 솔로 앨범 을 발표하며 당시 1500만 장이 넘는 판매량을 기록했고, 이 앨범으로 1980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R&B 가수상을 수상했다.
1982년 발표된 앨범 <스릴러(Thriller)>는 전 세계에서 1억 4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려 '최다판매앨범'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수록곡 , , , 등 7곡이 빌보드 10위 안에 들었으며, 37주 동안 빌보드 앨범차트 1위에 올랐다. 마이클 잭슨은 이 앨범으로 1983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프로듀서상, 올해의 앨범상, 최우수 R&B 보컬상, 최우수 록 보컬상을 비롯해 총 8개 부문의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특히 은 1983년 모타운 25주년 공연에서 최초 공개된 안무 문워크(Moonwalk)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달 표면을 유영하듯 미끄러진다는 뜻의 문워크는 마이클 잭슨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고 합니다
또한 1985년의 싱글 음반 는 아프리카의 기아로 인한 난민 구호를 위해서 그가 작곡한 곡으로, 약 2000만 장 이상이 판매돼 1986년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을 수상했다. 한편 1984년의 투어공연을 자선콘서트로 개최해 당시 역대 최고의 수익을 올리며, 자선단체에 수익금을 전액 기부하기도 하였고,
1987년 발표된 앨범 , , , , 5곡이 빌보드차트 1위를 달성하며 약 3000만 장이 판매되었고, 영화감독 마틴 스콜세지가 제작한 의 뮤직비디오로 화제가 되었다. 수록곡 의 안무 린댄스(Lean Dance) 또한 유명한데, 발을 무대에 고정시키고 30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몸을 지탱하는 린댄스를 위해 그가 직접 개발한 특수신발은 특허로 등록되어 있다. 이후 앨범의 전 세계 투어공연이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열린 가운데,
1991년의 는 7주간 빌보드차트 1위를 차지한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히트곡으로 선정된 , 세계평화를 노래한 등이 수록된 앨범으로 약 3200만 장이 판매되었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전 세계에서 앨범 투어공연이 연바가 있는 마이클 잭슨
1995년에는 베스트앨범 를 통해 히트곡과 신곡을 2CD로 발매했다. 여동생 자넷 잭슨(Janet Jackson)과의 듀엣곡인 은 빌보드 싱글차트 5위에 올랐고, 1996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뮤직비디오상을 받았다. 당시 뮤직비디오 제작에만 700만 달러가 투입돼 기네스를 기록하기도 했다. 수록곡 도 빌보드차트 1위에 오르며 싱글 음반만 100만 장이 판매되는 등 많은 사랑을 받았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앨범의 월드투어가 개최되었고
이후 1300만 장이 판매된 (2001)까지 총 10장의 정규앨범을 발표한 마이클 잭슨은 솔로 통산 7억 5000만 장의 앨범판매량을 기록, 13개의 싱글 음반을 빌보드차트 1위에 올리는 위업을 달성했다. 또한 19개의 그래미상을 비롯해 빌보드 어워드 40회, 아메리칸뮤직 어워드 22회, MTV 비디오뮤직 어워드 13회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고, 13개 부문의 기네스 월드레코드 보유자이기도 하다. 메이저 음악상에서 총 197개의 트로피를 가져간 셈이다. 그는 2001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부터 성형수술 및 아동 성추행 의혹 등 사생활을 둘러싼 논란으로 언론의 집중포화를 받아왔다. 활동 초기에만 해도 흑인의 검은 피부였던 마이클 잭슨은 멜라닌 색소가 파괴되는 희귀질병인 '백반증'으로 인해 백색 반점이 피부를 뒤덮기 시작했고, 1984년 펩시콜라 광고촬영장의 화재로 머리에 화상을 입으면서 증세가 악화돼 결국 온몸이 하얗게 변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는 타블로이드지의 가십거리로 악용되며, 백인이 되기 위해 박피수술을 받았다는 루머에 시달려야 했다. 그리고 1988년 캘리포니아 주에 건립한 자신의 대저택 '네버랜드'에서 1993년에 13세 소년을 성추문한 혐의로 피소되었다. 잭슨은 혐의를 부인했고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1995년 소년의 부모는 법정 외 합의금으로 2200만 달러를 요구했다. 이 사건은 훗날 소년의 아버지가 꾸민 사기극으로 밝혀졌다. 2003년에도 사기전과 범죄자가 자신의 아들을 성추행했다며 잭슨을 고소했으나, 마찬가지로 무혐의 판결이 내려졌다.
(아버지가 돈을 뜯어내기 위해 딸에게 시킨짓이라고하더라고요...-_-)
그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딸인 리사 마리 프레슬리(Lisa Marie Presley)와 1994년 결혼하여 19개월간 결혼생활을 지속하다 이혼했으며, 1996년 간호사인 데비 로우(Debbie Rowe)와 재혼하여 아들 프린스 마이클 주니어(Prince Michael Jackson Jr.)와 딸 패리스 마이클 캐서린(Paris-Michael Katherine)을 낳았으나 1999년 이혼했다. 2002년에는 대리모를 통해 인공수정으로 셋째 프린스 마이클 2세(Prince Michael Ⅱ)가 태어났습니다.
한편 2009년 7월부터 영국 런던에서 앨범 발매공연이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09년 6월 25일 마이클 잭슨은 자신의 저택에서 급성 프로포폴 중독에 의한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사인(死因)은 잭슨의 주치의 콘레드 머레이(Conrad Murray)가 수면마취제인 프로포폴을 치사량 주입했기 때문으로 드러났다. 그의 사후에 2010년 제52회 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을 수여받았으며, 잭슨의 자녀들이 대리 수상하였습니다..
마이클 잭슨은 잭슨 파이브의 멤버로 활동하면서 모타운에서 4편의 정규 솔로 앨범을 발표했다. 이 시절 솔로로서 <갓 투 비 데어(Got To Be There)>(1971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4위), 미국 가수 바비 데이(Bobby Day)의 원곡을 리메이크한 <로킹 로빈(Rockin' Robin)>(197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2위), 필 칼슨(Phil Karlson) 감독의 1972년 영화 《벤(Ben)》의 주제곡으로 쓰인 <벤(Ben)>(197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 등의 노래를 히트시켰다.
시드니 루멧(Sidney Lumet) 감독의 1978년 영화 《마법사(The Wiz)》에 출연하면서 영화의 사운드트랙을 담당한 프로듀서 퀸시 존스(Quincy Jones)와 만났다. 이를 계기로 마이클 잭슨의 솔로 앨범 《오프 더 월》(1979), 《스릴러》(1982), 《배드》(1987)에 퀸시 존스가 프로듀서로 참여하게 됐다. 《오프 더 월》은 1980년과 1981년 연속으로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에서 ‘페이버릿 앨범 (소울/알앤비)(Favorite Album (Soul/R&B))’을, 《스릴러》는 1984년에 열린 제26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 등을 수상했으며, 《배드》는 빌보드 싱글차트 1위 싱글 5편을 배출했다. 이처럼 이 3장의 앨범은 많은 매체로부터 호평을 들었으며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시절 마이클 잭슨은 솔로로서 <록 위드 유(Rock With You)>(1980), <빌리 진(Billie Jean)>(1983), <아이 저스트 캔트 스톱 러빙 유(I Just Can't Stop Loving You)>(1987) 등 다수의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 노래를 배출했다. 마이클 잭슨은 잭슨스의 1984년 앨범 《빅토리(Victory)》를 마지막으로 그룹 활동을 중단하였고
1991년 앨범 《데인저러스(Dangerous)》부터는 퀸시 존스와 파트너 관계를 맺는 대신 자신이 앨범을 총감독하며 당시 인기를 얻고 있던 다른 프로듀서들과 협업해 음반을 제작했다. 이 시기에 <리멤버 더 타임(Remember The Time)>(199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3위), <유 아 낫 얼론(You Are Not Alone)>(1995년 1위), <유 록 마이 월드(You Rock My World)>(2001년 10위) 등의 노래를 히트시키며,
이후 컴필레이션 앨범을 통해 <원 모어 찬스(One More Chance)>(2003), <치터(Cheater)>(2004) 등 신곡 및 미공개 음원 몇 편을 공개했다. 그러나 2009년 7월부터 영국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콘서트 '디스 이즈 잇(This Is It)'을 앞두고 2009년 6월 미국 자택에서 사망했다. 그해 공연을 준비하는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마이클 잭슨의 디스 이즈 잇(Michael Jackson's This Is It)》이 개봉되고
마이클 잭슨은 에픽 레코즈로 이적한 후 연이어 큰 성공을 거둠으로써 ‘킹 오브 팝’이라는 칭호를 들었다. 딸꾹질을 하는 것 같은 특유의 보컬도 유명하다. 디스코, 펑크(funk), 뉴 잭 스윙, 어덜트 컨템퍼러리, 록, 오페라의 요소를 가미한 음악 등 다양한 형식의 노래를 선보였다. 1997년 잭슨 파이브의 멤버로서, 2001년 솔로 가수로서 로큰롤 명예의 전당(Rock And Roll Hall Of Fame)에 헌액됐고, 1999년 잭슨 파이브로 보컬 그룹 명예의 전당(Vocal Group Hall Of Fame)에, 2002년 송라이터스 명예의 전당(Songwriters Hall Of Fame)에 헌액됐다. 1992년 자선단체 힐 더 월드 파운데이션(Heal The World Foundation)을 설립해 생활고를 겪는 아이들을 지원하는 사업을 펼치기도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뮤직비디오와 무대에서 화려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대중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파핑(popping), 로킹(locking), 로봇(robot) 등 펑크 스타일(funk styles)에 기반을 둔 춤을 주로 췄다. 양발을 이용해 미끄러지듯 뒤로 이동하는 ‘문워크(moonwalk)’는 그의 대표적인 춤으로 자리했다. <스무드 크리미널(Smooth Criminal)>(1988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7위)의 뮤직비디오에서 선보였던 것처럼 바닥에 발을 고정한 채 몸을 앞으로 기울이는 ‘안티 그래비티 린(anti-gravity lean)’ 동작도 유명하다. 그러나 1993년과 2005년에 소년을 성추행한 혐의로 고소를 당했고, 재판을 통해 각각 무혐의 판결을 받으면서 가까스로 위기를 벗어나기도 하였스며,
한편 1978년 영화 《마법사》에 출연하며 배우 활동을 하기도 했다. 제리 크레이머(Jerry Kramer), 콜린 칠버스(Colin Chilvers) 등이 감독한 1988년 영화 《문워커》가 그가 출연한 대표영화로 꼽힌다. 그러나 자신이 제작한 영화 외에는 대체로 단역을 맡았고, 연기에 대해서 특별한 평을 듣지 못했다. 자신의 노래 <잼(Jam)>(199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26위)과 <블러드 온 더 댄스 플로어(Blood On The Dance Floor)>(1997) 등의 뮤직비디오를 연출하기도 했다.
솔로 대표앨범으로 《오프 더 월》(1979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3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1위를 기록한 《스릴러》(1983), 《배드》(1987), 《데인저러스》(1991) 등이 있다. 솔로 대표곡으로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를 기록한 <돈트 스톱 틸 유 겟 이너프(Don't Stop 'Til You Get Enough)>(1979), <비트 잇(Beat It)>(1983), <더 웨이 유 메이크 미 필(The Way You Make Me Feel)>(1987), <맨 인 더 미러(Man In The Mirror)>(1988), <블랙 오어 화이트(Black Or White)>(1991) 등이 있습니다..

아래 목록은 마이클 의 앨범 목록입니다.
[디스코그래피: 스튜디오 앨범]
1971년 《갓 투 비 데어(Got To Be There)》
1972년 《벤(Ben)》
1973년 《뮤직 앤드 미(Music & Me)》
1975년 《포에버, 마이클(Forever, Michael)》
1979년 《오프 더 월(Off The Wall)》
1982년 《스릴러(Thriller)》
1987년 《배드(Bad)》
1991년 《데인저러스(Dangerous)》
1995년 《히스토리: 패스트, 프레젠트 앤드 퓨처, 북 원
(HIStory: Past, Present And Future, Book I)》
2001년 《인빈서블(Invincible)》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